임상실습을 경험한 물리치료 전공 학생의 전문직업성 연구
© 2021 by the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erceived level of professionalism of physical therapy student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Cross-sectional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nducted for 3 months from March to June, 2017, and randomly selected physical therapy student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in Chungnam-Do. The 138 students in cross-sectional survey were done via Korean of Professionalism In Physical Therapy: Core Values (PPTCV). The questionnaire data analyzed by SPSS 19.0 version.
The mean scores of PPTCV were accountability 41.34±0.83, altruism: 19.67+0.90, compassion/caring 43.82±0.81, excellence 45.57±0.80, integrity 43.69±6.16, professional duty 28.67±4.70, and social responsibility 45.84±7.64.
Physical therapy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had overall high scores.
Keywords:
Clinical practice, Physical therapy, Professionalism, StudentⅠ. 서 론
노령인구의 증가와 현대인들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최적의 신체 활동 상태를 유지 증진하기 위하여 신체의 기능적 능력 향상, 유지 및 회복에 기여하는 물리치료사의 전문직업성이 강조되고 있다(Deborah와 Kathy, 2018; 배영현, 2018; Jason 등, 2017).
선진국에서는 물리치료사의 전문직업성이 직업만족과 업무 수행에 있어 영향을 미치므로 양질의 물리치료사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대학 교육에서부터 학생들 스스로가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자각 및 인지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이광재, 2018; Heo, 2015).
미국물리치료사협회(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APTA)는 물리치료사에 의해 공동체 및 개인의 건강이 효과적으로 향상되기 위해서 다양한 전문가와 소통 및 협업하며 책임성, 윤리, 돌봄, 애타주의, 우수성 등의 전문직업성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전문직업성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Professionalism in Physical Therapy: Core Values (PPTCV)를 개발 및 도입하고 있다(APTA, 2015).
최근 국내에서 산재전문병원에서 근무하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APTA의 PPTCV 자가 평가도구를 이용한 신뢰도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한글판PPTCV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배영현, 2018). 그러나 임상실습을 경험한 물리치료 전공 학생들이 임상경험을 통하여 올바르게 전문직업성이 정립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한 물리치료 전공 학생들에게 한국어판 PPTCV 자가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물리치료 전공 학생들의 전문직업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절차
본 연구는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3개월간 진행하였으며, 최소 2개 기관 및 8주 이상의 임상실습을 경험한 충남 지역의 물리치료 전공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본 설문의 참여 의사를 가진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방식은 학교에 방문하여 연구자가 직접 배포하고 회수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총 200부 중 누락 된 내용이 있는 설문은 제외하여, 최종 138부를 분석하였다.
2. 측정도구
PPTCV는 7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위항목은 총 68문항으로 구성되며 이타심 5문항, 우수성 11문항, 연민/돌봄 11문항, 진실성 12문항, 책무 10문항, 사회적 책임 12문항, 직업적 의무 7문항으로 되어있다. 총점수는 최소 68점부터 최대 340점의 범위로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직업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문항 평가의 수준은 리커트 (Likert) 5점 척도를 구성되어 있다.
7개의 하위영역은 활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책임에 대한 능동적 수용 절차인 책무, 환자(고객)의 요구를 우선시 하는 이타심, 돌봄은 걱정, 공감, 다른 가치나 요구를 숙고하는 연민/돌봄, 새로운 지식을 개발하는 일의 실행 부분인 우수성, 당신이 왜 하는지 이유를 설명하는 진실성, 사회의 건강에 헌신하는 직업적 의무, 공공 목적과 전문가 간에 믿음을 보여주는 사회적 책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배영현(2018)의 선행연구에서 APTA로부터 PPTCV 자가 평가도구를 한국어판으로 번역사용에 대한 허가 받아 번역 전문가와 물리치료 전문가에 의해 한글 번역 및 역 영어 번역을 통해 검증된 한글판 PPTCV를 이용하였다.
물리치료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PPTCV 자가 평가도구의 내적 일치 신뢰도 알파 계수(Cronbach’s ɑ)값은 0.861이었고 하위영역은 책무 0.896, 이타심 0.797, 연민/돌봄 0.870, 우수성 0.908, 진실성 0.898, 직업적 의무 0.802, 사회적 책임 0.860으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표 1>.
3. 자료분석
본 연구대상자의 성별, 나이는 빈도(%) 분석, PPTCV의 영역별 총점수 및 평균 점수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고 SPSS 19.0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Ⅲ. 결 과
대상자 138명 중 여자는 69명, 남자 69명이며 연령은 20-22세 68.1%, 23-25세 26.0%, 26-28세 5.9%였다<표 2>.
한국어판 PPTCV의 영역별 평균 점수는 책무 4.13±0.84, 우수성 4.14±0.81, 직업적 의무 4.07±0.87, 이타심 3.93±0.45, 연민/돌봄 3.99±0.82, 진실성 3.99±0.88, 사회적 책임 3.68±0.97로 총합계의 평균은 27.93±5.64이었다<표 3>.
그리고 한국어판 PPTCV의 영역별 총점수의 평균은 책무 41.34±0.83, 이타심 19.67±0.90, 연민/돌봄 43.82±0.81, 우수성 45.57±0.80, 진실성 47.88±0.79, 직업적 의무 28.50±0.86, 사회적 책무 44.04±0.88로 총합계의 평균은 270.82±5.87이다<표 4>.
Ⅳ. 논 의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한 물리치료 전공 학생들에게 한국어판 PPTCV 자가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물리치료 전공 학생들의 전문직업성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판 PPTCV의 내적 일치 신뢰도 알파 계수 값의 총평균은 0.861이었고 하위척도 점수의 범위는 0.797-0.908이었다. 물리치료사를 대산으로 선행 연구에서 PPTCV의 하위척도 점수에 대한 알파 계수의 범위는 0.69-0.94(Deborah와 Kathy, 2018), 0.713-0.934(Jason 등, 2017), 0.845-0.901(배영현, 2018)로 본 연구와 비슷한 값을 보이며 한국판 PPTCV의 내적 일치 신뢰도는 선행 연구와 같이 우수하게 나타나며 전문직업성을 측정하는데 적절한 도구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판 PPTCV의 전체 평균은 3.99점으로 우수한 전문직업성을 보였고 하위항목 모두에서 리커트 척도의 보통(3점)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국내에서 다른 전문직업성 평가 도구이지만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수행한 선행연구에서 전문직업성의 평균 점수는 치과위생과 학생 3.02-3.59, 졸업학년 간호학생 3.43(전현선 등, 2015; 함연숙 등, 2011)를 보이며 절대적으로 평가할 수 없지만 본 연구에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물리치료 전공 학생들의 직업전문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국내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은 업무를 즐기며 동기부여가 되는 셀프리더쉽의 자연적 보상 전략 높은 성향이 있고(김은주와 이한숙, 2017), 이러한 부분이 반영되어 본 연구에서도 높은 직업전문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판 PPTCV 자가 평가도구 하위영역별 총점수의 평균은 책무 41.34점, 이타심 19.67점, 연민/돌봄 43.82점, 우수성 45.57점, 진실성 47.88점, 직업적 의무 28.50점, 사회적 책임 44.04로 총점수의 평균은 270.82점으로 나타났다. PPTCV를 이용하여 인도의 물리치료 전공 학생의 전문직업성을 분석한 선행연구에서 하위항목 총점수의 평균은 책무 40.36, 이타심 17.98점, 연민/돌봄 43.65점, 우수성 44.01점, 진실성 43.69점, 직업적 의무 28.67점, 사회적 책임 45.84로 총점의 평균점수는 268.65를 보였다(Hata와 Megha, 2020). 본 연구의 PPTCV 총점은 인도의 물리치료 전공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우수성, 진실성, 사회적 책임 항목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사회적 책임은 3.68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국내 임상의 물리치료사의 전문직업성은 보통 이상 수준으로 높지 않게 나타나지 않고 있고 현재 물리치료사들은 물리치료의 독립적인 개원을 위한 법률적 개정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개정에 필요한 전문직업성은 크게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김동훈과 손명주, 2015). 그러나 직업 이미지를 형성함에 있어서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은 임상의 물리치료사들에 의해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김은애 등, 2013), 다른 의료 직종에 비해 신분보장 측면에서 미약한 상황이더라도(김은주와 이한숙, 2017), 학생들의 올바른 전문직업성을 갖추고 성장해서 국내 물리치료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본보기인 임상 물리치료사의 질적 강화를 위한 자체적인 노력(신지영과 조병희, 2019)을 포함한 전문직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아울러 국내 물리치료 전공 학생들이 졸업 후 임상에서 높은 전문직업성을 유지하고 전문가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물리치료 학생들의 스스로의 동기부여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김은주와 이한숙, 2017). 그러기 위해서는 대학교육에서부터 물리치료사로서 자기 목표설정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고(김은주와 이한숙, 2017), 지속적인 전문성 확보, 높은 윤리적 원칙 고수, 사회의 건강과 안녕을 위한 기여에 대한 전문직업성을 대학 교육에서부터 강조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Ⅴ.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국내 임상실습을 경험한 물리치료 전공 학생들의 전문직업성이 비교적 높은 인식을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국내 물리치료의 통합적인 전문직업성 분석을 위해서는 학생, 물리치료사, 교육자, 연구자의 다각적인 전문직업성 연구가 요구된다. 특히, 학생을 대상으로는 임상실습 기관의 종류, 기간 등 의 경험 차이에 따른 전문직업성 분석과 국내 여건을 감안하여 향후 훌륭한 임상가로서 성장할 수 있는 밑거름을 길러주기 위해 지속적인 전문직업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 도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 김동훈, 손명주. 물리치료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독립개원의 필요성 인식과 전문직업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5;15(2):378-86.
- 김은애, 이건철, 배원식, 등.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이 지각한 물리치료사의 이미지와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 분석. 대한물리의학회지 2013;8(1):19-27.
- 김은주, 이한숙. 일부 물리치료 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내재적 동기간의 관계분석. 대한물리의학회지. 2017;12(1):113-20.
- 배영현. 산재 재활전문가의 전문직업성 평가를 위한 한국어판 자가 평가도구 Professionalism in Physical Therapy : Core Values의 신뢰도 연구. 정형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2018;14(1):21-8.
- 신지영, 조병희. 한국물리치료사의 전문직업성 유형 탐색: Q방법론적 접근. 보건과 사회과학 2019;51(1):41-80.
- 이광재. 물리치료 전공 대학생의 직업인식도와 진로선호도에 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8;25(3):32-42.
- 전현선, 류다영, 최용금. 학제에 따른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의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에 대한자기인식 평가.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5;9(2):247-54.
- 함연숙, 김화순, 조인숙, 등. 졸업학년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전문직관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1;17(3):536-44.
-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Ethics & Professionalism.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2015.
- Deborah KA, Kathy DH.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Minimal Detectable Change of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Professionalism in Physical Therapy: Core Values Self-Assessment. J Phys Ther Edu 2018;32(2):145-50. [https://doi.org/10.1097/JTE.0000000000000042]
- Heo JW.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ism to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the physical Therapist. J Kor Phys Ther 2015:27(4):201-6. [https://doi.org/10.18857/jkpt.2015.27.4.201]
- Heta DB, Megha SS. Professionalism as a core value of postgraduate physiotherapy students of Ahmedabad: a cross sectional survey. Int J Community Med Public Health 2020;7(12):4885-8. [https://doi.org/10.18203/2394-6040.ijcmph20205157]
- Jason D, David SF, Matt W, et al.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APTA Professionalism in Physical Therapy: Core Values Self-Assessment Tool in DPT Students. J Phys Ther Edu 2017;31(4):2-7. [https://doi.org/10.1097/JTE.000000000000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