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 Article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y Science - Vol. 25, No. 3, pp.9-16
ISSN: 1226-3672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Dec 2018
Received 15 Nov 2018 Revised 14 Dec 2018 Accepted 24 Dec 2018
DOI: https://doi.org/10.26862/jkpts.2018.12.25.3.9

굴곡-신연기법과 낙차 교정법이 허리 척추사이원반 탈출증 환자의 시각적 상사 척도 및 엉치뼈 각에 미치는 영향

오현주1 ; 최석주1 ; 이관섭2 ; 최지운3
1대구과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2대구보건대 물리치료과
3불로연합정형외과
The Effect of Flexion-distraction Technique and Drop Technique on Pain and Sacral Angle of Patients with Lumbar Spine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Hyun-Ju Oh, Ph.D. P.T.1 ; Seok-Joo Choi, Ph.D., P.T.1 ; Kwan-Sub Lee, Ph.D., P.T.2 ; Ji-Oun Choi, Ph.D., P.T.3
1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Taegu Science University
2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gu Health College
3Bullo Union Orthopedics

Correspondence to: 최지운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153 불로연합정형외과, 전화: 053-985-3881, E-mail: ptchoi2001@hanmail.net

© 2018 by the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Abstract

Backgroun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rapy methods through Flexion-distraction technique and drop technique on pain, sacral angle of patients with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targeting patients with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due to L5-S1.

Method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directivity of the therapy method for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pinal decompression therapy and provide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to patients with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by identify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Flexion-distraction technique and drop technique. The research period is March 1, 2018 to June 30, 2018 and subjects are the patients diagnosed as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due to L5-S1 by their doctor through clinical findings and medical equipment such as X-ray, CT, MRI etc. Among patients who visited and hospitalized in S Orthopaedics located in Daegu and 30 female patients with sacral angle of more than 30°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15 people and we carried out treatment three times a week for 8 weeks for 15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Flexion-distraction technique and drop technique and 15 people in the control group applying spinal decompression therapy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s in pain, sacral angle of patients with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Resul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anges in the Visual Analogue Sca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p<.05), whil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before and after measurement of experimental group (p<.05). In the comparison within two groups of sacral angle,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of scores between groups before and after measurement of each group(p>.05).

Discussion

All those results the above proved that we need to confirm various benefits of the therapy with the flexion-distraction technique and drop technique, and the findings of the concerned study will possibly become useful information when doctors actually work on a therapy to treat patients with the lumba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Keywords:

Flexion-distraction Technique, Drop Technique, Sacral Angle

Ⅰ. 서 론

척추사이원반 탈출증은 섬유테의 파열에 의해 속질핵이 파열된 섬유테 사이를 비집고 나와 외부로 탈출되는 질환으로 속질핵의 탈출은 척추의 굴신 운동, 회전 운동, 갑작스런 자세의 변화 등 주로 척추의 가벼운 외상에 의해 발생하며, 때로는 뚜렷한 원인 없이 일어날 수도 있다(Hwan-Mo Lee, 2001). 허리뼈 척추사이원반 탈출증의 초기에는 요통만 나타나다가 점차 하지로 내려가는 방사통과 피부 분절에 따른 감각이상 및 근력 약화, 운동제한이 나타나게 된다(Deyo 등, 1990). 척추사이원반 탈출증의 주요 증상 인 방사통(radicular pain)은 척추사이구멍에 위치한 뒤뿌리 신경절(dorsal root ganglion)의 근위부나 신경절 자체의 질병으로 발생하고, 방사통에 대한 정확한 병리 기전은 몇 가지 가설로 설명되는데, 변성된 척추사이원반 내에서 통증을 유발하는 물질이 나온다는 국소 신경병증성 기전(local neuropathic mechanism), 신경뿌리에 대한 기계적인 압박에 의해, 또는 기계적인 압박 없이 변성된 척추사이원반으로부터 유리되는 여러 염증 인자들로 인한 통증으로 알려져 있다(Tremont-Lukats 등, 2000).

허리뼈 척추사이원반 탈출증의 치료법으로는 약물치료(medication), 침상안정(bed rest), 물리치료, 마사지, 운동치료, 도수치료, 견인치료 등이 적용되어지고 있고, 이 중 가장 많이 선호되는 방법으로는 도수치료와 견인치료를 들 수 있다. 견인치료는 척추사이원반 탈출증에 가장 일반적인 보존적 치료법으로 생체역학적 관점에서 척추사이원반과 신경 압박을 완화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관절기능을 회복시키며, 병소부위에 하중을 줄여 척추사이원반 내압을 감소시킨다(Won-Man Park 등, 2014). 또 다른 보존적 치료 방법인 도수치료(manual therapy)는 해부학적, 생체역학적 기전을 적용하여 질환을 치료하는 자연회복 접근방법으로, 물리적인 인자 중 역학적인 힘으로써 물리치료사가 검진과 치료를 위해 손을 사용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말하고, 도수치료의 핵심원리는 기능부전의 척추와 사지의 근육, 관절을 다양한 도수 교정치료 기법을 이용해 근육을 신장시키고, 관절가동범위와 변위를 정상화시키므로 관절 가동성 증가와 통증 감소를 위해 사용된다(Hammer 등, 2004). 낙차 교정법은 주로 골반 및 엉치뼈의 교정, 등뼈 및 목뼈의 교정에 사용되는데 특수하게 고안된 테이블을 사용하여 골반과 같은 강력한 관절을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카이로프랙틱 테크닉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이나 캐나다 등의 선진국의 경우 요통환자 중 카이로프랙틱 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가장 많으며 요통으로 인해 카이로프랙틱 치료를 받은 환자들이 일반 의학적 치료를 받은 경우에 비해 3배 정도의 만족감을 보인다고 보고되었다(Hertman-Miller 등, 2002). 도수치료 중에서 굴곡-신연 교정치료는 허리뼈의 특정부위를 견인시켜주며, 골단 관절을 집중적으로 운동시킴으로써 앞세로인대 및 뒤세로인대를 신전시켜 척추사이원반이 재배열 되도록 하고, 척추 내 유일한 활액 관절이고, 척추 높이 사이에 후-측방 관절을 구성하여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의 30%정도를 지탱 하여 주는 면관절을 이완시켜줌으로써 척추관절의 생리적 운동을 회복시켜주고 통증을 제거시켜준다(Saravanakumar K 등,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허리 척추사이원반 탈출증 환자에게 많이 적용되고 있는 치료법인 척추감압치료와 도수치료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척추사이원반 탈출이 있으면서 방사통 등 상응하는 임상증상을 보여 명백히 허리부 척추사이원반 탈출증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효과를 확립하고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8년 3월 1일부터 2018년 6월 30일 까지 대구소재 S정형외과에 입원한 환자와 외래로 내원한 환자 중 임상적 소견과 X-ray, CT, MRI 등의 의료장비를 통해 담당의사로부터 통증의 호소형태, 신경학적 형태, 방사선적 소견의 형태가 L5-S1에서 기인한 척추사이원반 탈출증과 일치하는 20-50대 여성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의도와 실험 전 과정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고 자발적 동의를 얻어 8주 동안 주 3회 실험을 실시하였다.

2. 연구 방법

실험에 동의한 척추사이원반 탈출증 환자를 대상으로 보존적 물리치료와 굴곡-신연기법과 낙차 교정법을 병행한 실험군 15명과 보존적 물리치료와 척추감압치료를 병행한 대조군 15명을 무작위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환자는 8주 동안 주 3회 치료를 실시하였다.

1) 실험군의 실험방법

실험군은 보존적 물리치료를 적용한 후 임상경력 10년차 이상의 물리치료사에 의해 굴곡-신연기법은 Zenith-Cox Flexion table(Zenith-100, USA)을 이용하여 8주간 주 3회 치료를 실시하였다. 기법의 시술 순서는 다음과 같다. 굴곡-신연(flexion-distraction)기법은 한 손은 치료하고자 하는 요추 극돌기에 모지구(thenar)로 접촉해 고정하고 다른 손은 Cox table 미부의 손잡이를 잡고 테이블의 미측 골반 분절(caudal pelvic section)을 아래로 내려 4-5초씩 5회의 굴곡-신연동작을 가해 총 20초간의 신연이 가해지도록 하였으며, 미측 분절을 아래쪽으로 움직일 때는 5cm정도까지만 내려 전체 적용 횟수는 20초 적용, 5회 반복을 1set로 하여 3set까지 실시하였다. 굴곡-신연(flexion-distraction)기법을 적용한 후 한손으로 환자의 후두부를 시술자의 손으로 받치면서 고정시키고 테이블의 미부를 아래로 내려 굴곡-신연 동작을 적용하는 대후두공 펌프(foramen magnum pump)기법을 10회 반복하였다(그림 1).

낙차 교정법을 적용하기 위해 Drop table(Zenith 440, USA)을 이용하여 골반 및 다리길이 검사 후 경추증후군의 유무를 검사 한 다음 요추부 및 골반 변위가 확인되면 피험자를 엎드린 자세로 눕게 한 후 Thomson의 낙차 교정법을 시행하였다(그림 2).

2) 대조군의 실험방법

대조군은 보존적 물리치료를 적용한 후 척추감압치료기(MID 4M Serise, WIZ medical, KOR)를 이용하여 피험자는 치료기 위에 바로 누운 자세로 눕고 air grip extension을 이용하여 골반(pelvic)과 등뼈(thoracic)부위에 air belt를 채우고 head strap으로 두부를 고정하여 착부위 슬립을 방지시키고 허리뼈의 앞굽음을 유지하기 위하여 sacrum extension 장치를 적용하여 견인력은 처음 4-5 strength setup에서 시작하여 점차 power level을 한단계씩 일정비율로 증가시키면서 견인치료시간은 20분이며 유지시간(hold time)과 휴지시간(rest time)의 비율은 2:1로 설정하여 8주간 주 3회 20분간 적용하였다(그림 3).

3) 시각적 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VAS)

본 연구에서는 통증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각적 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VAS)방법을 이용하였다. 100mm의 수평자에 왼쪽 끝은 통증이 없는 아주 편안한 상태, 자의 오른쪽 끝은 피검자가 생각하기에 극심한 통증으로 참을 수 없는 통증으로 정의되도록 하여 그 선상에 검사자의 질문을 듣고 통증의 정도를 수평자위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4) 엉치뼈 각(Sacral angle)

엉치뼈 각에 대한 평가는 방사선 촬영장치(DS-20UR, KOR)를 통한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바로 선 자세에서 허리엉치부 외측 단순 방사선 사진 상에서 엉치뼈의 기저면과 수평면 간의 각을 측정하였다(그림 4).

5) 자료 분석

수집된 모든 자료를 SPSS /PC Ver.13.0을 이용하여 시각적 상사 척도와 엉치뼈 각의 그룹 내 전·후 검증을 위하여 대응 비교검사(Paired t-test)를 이용하였고, 그룹 간 비료를 위해 독립 t-검정(indipen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측정값의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Ⅲ. 결 과

1. 시각적 상사척도 점수의 비교

보존적 물리치료와 도수치료를 병행한 실험군, 보존적 물리치료와 척추감압치료를 병행한 대조군에 따른 집단 내 시각적 상사척도에서 나타나는 점수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비교 t-검정한 결과 두 집단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그림 5). 각 군의 측정전과 측정후의 집단 간 점수를 독립표본 t-검증한 결과 측정 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5) 측정 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그림 6).

2. 엉치뼈 각(Sacral angle)의 비교

실험군과 대조군에 따른 집단 내 엉치뼈 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비교 t-검정한 결과 두 집단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그림 7).

각 군의 측정전과 측정후의 집단간 점수를 독립표본 t-검증한 결과 측정 전과 측정 후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그림 8).


Ⅳ. 고 찰

본 연구는 통증의 호소 및 신경학적 형태, 방사선 소견의 형태가 L5-S1에서 기인한 척추사이원반 탈출증과 일치하는 여성환자 30명을 대상으로 굴곡-신연기법과 낙차 교정법, 척추감압치료를 적용한 두 그룹으로 나누어 8주간 주 3회 처치 전, 후의 시각적 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엉치뼈 각(sacral angle)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척추사이원반 탈출증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8주간의 실험에서 시각적 상사척도의 변화를 보면, 굴곡-신연기법과 낙차교정법 시술 후 시각적 상사척도(VAS)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Ferreira 등(2004)의 연구에서도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척추도수치료를 시행한 결과, 치료 전 6.2에서 치료 후 4.1로 시각적상사척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는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굴곡-신연기법과 낙차교정법이 척추사이원반 돌출의 감소, 후관절 기능부전의 교정, 잠긴 추체관절의 가동화, 신경근 압박의 감소, 반사활동의 정상화, 근육의 이완을 유도하고, 제한된 관절운동이 원활해지고 관절낭 내 운동기능의 향상으로 고착된 후관절이 열림으로 인해 요추 자체도 재배열 될 수 있도록 하고, 압박된 신경과 긴장된 근육까지 풀어줌으로써 요추부위 전체를 이완시켜 주는 효과로 사료된다(Ombregt와 Ludwig, 2013).

정상적인 척추의 시상 만곡은 체중을 고르게 분산시키며 각 관절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시켜 연부 조직에 대한 긴장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좋은 자세를 유지하게 한다(Christie 등, 1995). 허리엉치관절부는 척추의 고유 곡선인 허리뼈의 앞굽음과 엉치뼈의 뒤굽음이 이행되는 곳으로서 해부학적으로 중요한 부위로 상체의 무게가 이부위를 통해 전달되지만, 운동량이 많은 반면 안정성이 적은 곳으로 외상 및 질병 등으로 인한 인대 및 근육의 이완내지는 단열이 오기 쉽고, 이행성 분절(transitional segment), 비대칭 면관절(tropism) 등의 선천성 기형의 동반이 많아 안정성을 잃게 되므로 임상적으로 요통의 주요 원인이 된다(Sung-Yub Jung 등,200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척추사이원반 탈출증 환자의 엉치뼈 각(sacral angle)을 측정하여 허리엉치관절부의 안정성과 척추사이원반 탈출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태교(2001)는 요통 및 하지 방사통을 호소하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카이로프랙틱을 적용하여 퍼거슨 각이 6명에서 정상으로 변화하였다고 하였다. 마상렬(2002)은 엉치엉덩관절 변위를 동반한 6개월 이상의 만성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12주간 낙차교정법을 포함한 도수교정을 실시하여 허리엉치뼈 각도와 엉치뼈의 기울기를 감소시켰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엉치뼈 각의 변화에 대해 두 그룹 내 효과 검증의 결과 치료 후 두 그룹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굴곡-신연기법과 낙차 교정법과 엉치뼈의 움직임 유도 장치를 적용한 척추감압치료가 척추의 후부에 적용된 도수력과 수직적인 신연의 조합으로 척추 후부의 운동단위를 개방시켜주고 저가동성이나 움직임 제한이 있는 부위에 작용을 하여 면관절 기능부전의 교정, 잠긴 추체관절의 가동화, 신경뿌리 압박의 감소를 유도하여 제한된 관절 운동이 원활해지고 관절낭 내 운동기능향상의 효과로 사료된다(Cox 등, 2012).


Ⅴ. 결 론

본 연구는 L5-S1 척추사이원반 탈출증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굴곡-신연기법과 낙차 교정법, 척추감압치료를 적용하여 시각적 상사 척도, 엉치뼈 각(sacral angle)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8주간 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시각적 상사 척도와 엉치뼈 각(sacral angle)은 두 집단 내 비교에서 두 집단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집단 간 비교에서는 시각적 상사 척도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엉치뼈 각의 변화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향후 낙차교정법과 굴곡-신연기법에 대한 다양한 효과를 입증할 필요가 있으며, 임상에서 척추사이원반 탈출증 환자의 치료방법 선택 시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 Hwan-Mo Lee, “Classification and Imaging Study of the Lumbar Disc Herniation", Jouranal of Korean Spine Surg, 8(3), p314-320, (2001). [https://doi.org/10.4184/jkss.2001.8.3.314]
  • Deyo, Richard A., “A controlled trial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and exercise for chronic low back pai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7, p1627-1634, (1990). [https://doi.org/10.1056/NEJM199006073222303]
  • Tremont-Lukats, Ivo W., “Anticonvulsants for neuropathic pain syndromes”, Drugs, 60, p1029-1052, (2000). [https://doi.org/10.2165/00003495-200060050-00005]
  • Won-Man Park, Yoon-Hyuk Kim, “Biomechanical analysis of two-step traction therapy in the lumbar spine”, Manual Therapy“, 19(6), p527-533, (2014). [https://doi.org/10.1016/j.math.2014.05.004]
  • Hammer, Christopher J., “Chiropractic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of a 38-Year-Old Male with an L5-S1 Disc Herniation”, Journal of Chiropractic Medicine, 3(4), p145-152, (2004). [https://doi.org/10.1016/S0899-3467(07)60102-5]
  • Hertzman-Miller, Ruth P, et al., “Comparing the satisfaction of low back pain patients randomized to receive medical or chiropractic care: results from the UCLA low-back pain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2(10), p1628-1633, (2002). [https://doi.org/10.2105/AJPH.92.10.1628]
  • Saravanakumar, K, & Harvey, A., “Lumbar Zygapophyseal (Facet) Joint Pain”, Reviews in Pain, 2(1), p8-13, (2008). [https://doi.org/10.1177/204946370800200103]
  • Ferreira, Paulo H, Ferreira, Manuela L, & Hodges, Paul W., “Changes in recruitment of the abdominal muscles in people with low back pain: ultrasound measurement of muscle activity”, Spine, 29(22), p2560-2566, (2004). [https://doi.org/10.1097/01.brs.0000144410.89182.f9]
  • Ombregt, Ludwig, “A system of orthopaedic medicine”, Elsevier Health Sciences, p20-23, (2013).
  • Christie, Heather J, et al, “Postural aberrations in low back pai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6), 3p218-224, (1995).
  • Sung-Yub Jung, Young-Hoi Park, Dong-Ho Keum, “Statistical Study of the Ferguson Angle and Lumbar Gravity Line in Acute and Chronic Lumbago Patients”, Journal of Oriental Rehab Med, 13(1), p119-129, (2003).
  • Tae-Kyo Lee, “The effects of Chuna Treatment on the Low Back Pain and Radiating Pain”, (2001).
  • Sang-Youl Ma, “The Effect of the Manipulation and the Physiotherapy on the Pelvic Subluxation”, (2002).
  • Cox, James M, “Low back pain: mechanism, diagnosis and treatment”,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

Appendix

부록 1. 그림

그림 1.

Zenith-Cox Flexion-Distraction technique(Zenith-100, USA)

그림 2.

Drop technique(zenith 440, USA)

그림 3.

Spinal decompression therapy

그림 4.

Sacral Angle

그림 5.

Variation of VAS within each groups

그림 6.

Variation of VAS between each groups

그림 7.

variation of sacral angle within each groups

그림 8.

variation of sacral angle between each groups

그림 1.

그림 1.
Zenith-Cox Flexion-Distraction technique(Zenith-100, USA)

그림 2.

그림 2.
Drop technique(zenith 440, USA)

그림 3.

그림 3.
Spinal decompression therapy

그림 4.

그림 4.
Sacral Angle

그림 5.

그림 5.
Variation of VAS within each groups

그림 6.

그림 6.
Variation of VAS between each groups

그림 7.

그림 7.
variation of sacral angle within each groups

그림 8.

그림 8.
variation of sacral angle between each groups